Algorithm -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포스트
취소

Algorithm -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문제

고객의 약관 동의를 얻어서 수집된 1~n번으로 분류되는 개인정보 n개가 있습니다. 약관 종류는 여러 가지 있으며 각 약관마다 개인정보 보관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당신은 각 개인정보가 어떤 약관으로 수집됐는지 알고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유효기간 전까지만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반드시 파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약관의 유효기간이 12 달이고, 2021년 1월 5일에 수집된 개인정보가 A약관으로 수집되었다면 해당 개인정보는 2022년 1월 4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2022년 1월 5일부터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당신은 오늘 날짜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들을 구하려 합니다.

모든 달은 28일까지 있다고 가정합니다.


다음은 오늘 날짜가 2022.05.19일 때의 예시입니다.

약관 종류유효기간
A6 달
B12 달
C3 달


번호개인정보 수집 일자약관 종류
12021.05.02A
22021.07.01B
32022.02.19C
42022.02.20C


  • 첫 번째 개인정보는 A약관에 의해 2021년 11월 1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두 번째 개인정보는 B약관에 의해 2022년 6월 2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 세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8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났으므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입니다.
  • 네 번째 개인정보는 C약관에 의해 2022년 5월 19일까지 보관 가능하며,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아직 보관 가능합니다.


따라서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 번호는 [1, 3]입니다.

오늘 날짜를 의미하는 문자열 today, 약관의 유효기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terms와 수집된 개인정보의 정보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privaci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파기해야 할 개인정보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1차원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입출력 예

todaytermsprivaciesresult
“2022.05.19”[“A 6”, “B 12”, “C 3”][“2021.05.02 A”, “2021.07.01 B”, “2022.02.19 C”, “2022.02.20 C”][1, 3]
“2020.01.01”[“Z 3”, “D 5”][“2019.01.01 D”, “2019.11.15 Z”, “2019.08.02 D”, “2019.07.01 D”, “2018.12.28 Z”][1, 4, 5]



내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function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
    let answer = [];
    let count = 1;
    
    function calcDate(term, date) {
        term = Number(term);
        let todayDate = today;
        
        todayDate = todayDate.split('.');
        let todayYy = Number(todayDate[0]);
        let todayMm = Number(todayDate[1]);
        let todayDd = Number(todayDate[2]);
        
        date = date.split('.');
        let termYy = Number(date[0]);
        let termMm = Number(date[1]);
        let termDd = Number(date[2]);  
        
        // 월수가 12월이 넘어가면 
        if (termMm + term > 12) {
            termYy = termYy + 1;
            termMm = termMm + term - 12;
        } else {
            termMm = termMm + term;
        }
        
        // 일자별로 계산
        todayYy = todayYy * 28 * 12;
        todayMm = todayMm * 28;
        termYy = termYy * 28 * 12;
        termMm = termMm * 28;
        
        // 계산한 값이 today가 높으면 파기(false). 아니면 보관(true).
        if (todayYy + todayMm + todayDd >= termYy + termMm + termDd) {
            return false;
        } else {
            return true;
        }
    }
    
    
    for (let i = 0; i < privacies.length; i++) {
        for (let k = 0; k < terms.length; k++) {
            let term = terms[k].split(' ')[1];
            let termType = terms[k].split(' ')[0];
            let privacieDate = privacies[i].split(' ')[0];
            let privacieType = privacies[i].split(' ')[1];
            
            if (termType === privacieType) {
                // 파기해야(false) 하는 값만 담는다.
                if (!calcDate(term, privacieDate)) {
                    answer.push(count);
                }
            }
        }
        
        count++;
    }
    
    return answer;
}



결과

스크린샷 2023-01-20 오후 9 05 23



Develop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면 split을 했을 때 바로 분할하여 변수에 저장하는 것과
이중반복문이 아닌 forEach에 두 매개변수를 이용한 부분이 나의 코드보다 훨씬 더 간결하고, 효율적이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function solution(today, terms, privacies) {
  var answer = [];
  var [year, month, date] = today.split(".").map(Number);
  var todates = year * 12 * 28 + month * 28 + date;
  var t = {};
  terms.forEach((e) => {
    let [a, b] = e.split(" ");
    t[a] = Number(b);
  });
  privacies.forEach((e, i) => {
    var [day, term] = e.split(" ");
    day = day.split(".").map(Number);
    var dates = day[0] * 12 * 28 + day[1] * 28 + day[2] + t[term] * 28;
    if (dates <= todates) answer.push(i + 1);
  });
  return answer;
}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React-native run 시킬 때 지정 디바이스로 실행시키는 방법(기본)

Algorithm -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